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의 개념 정리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 Operation)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본 뒤,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Micro Cycle Time)을 계산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훈련을하려고 합니다. 1. 마이크로 오퍼레이션(Micro Operation)이란 무엇인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한마디로 말해 컴퓨터가 수행하는 모든 명령을 구성하는 기본 동작들을 의미합니다. 명령어(Instruction)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CPU 내부의 레지스터와 플래그가 의미있는 상태의 변환을 하도록 해야하는데, 이러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하나의 클록 펄스(Clock Pulse) 단위로 실행되는 기본 동작이라는 점이 중요합니다. 모든 마이크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8XdF6/btrrsnHHtiZ/6GxorKT5iOiA9wRclFPkvK/img.png)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의 중요 개념 정리 포스팅입니다. 전자계산기 장치, 즉 컴퓨터의 본질은 다양한 연산을 인간 대신 빠르고 반복적으로 하는 것인 만큼 연산의 종류와 연산 작업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러나 연산은 말처럼 거창한 것이 아닌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제부터 각각의 연산에 대해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ND(Masking Operation) AND 연산은 주로 특정 Bit를 삭제하는 Masking Operation을 수행하는 기능을합니다. 우리가 아는 AND는 대응되는 두 개가 공통된 경우 1을 출력하는 연산입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생각해서 1과 1처럼 동시에 출력되지 않는 모든 경우가 발생할 경우 0을 출력하여 동시에 출력되지 않는 1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PPnZ/btrrqZ79pB3/wugxlRkoF8DJQkaamI05K0/img.png)
정보처리기사 필기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의 개념 중 지난 포스팅에서는 중앙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로 구성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명령어를 기억하고 해독하여 컴퓨터의 각 장치들을 제어하는 장치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명령어'입니다. 명령어를 통해 컴퓨터의 모든 기능이 수행되므로 명령어가 무엇이고 어떻게 설계되고 구성되는지를 아는 것이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단계입니다. 명령어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명령어는 크게 연산자부(Operation Code), 모드부(Mode), 그리고 자료부(Operand)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연산자부는 말 그대로 컴퓨터가 수행할 연산에 맞는 연산자를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JGOWv/btrrqZUB5kf/lkYDJOwSVFGCxK3LKJxAh1/img.png)
정보처리기사 2과목 전자계산기 구조에서 다뤄지는 레지스터와 버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레지스터는 보통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안에 위치하여 적은 양의 데이터나 처리 중인 연산의 중간값을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를 말합니다.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을 행할 때 중간 결과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하기 까지 저장해 둘 장소로서 기능하며, 전송 속도는 기억 장치 중 가장 빠릅니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와의 차이점은 주기억장치는 단지 데이터나 명령을 저장할 뿐이고, 레지스터는 연산의 중간 결과값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연산을 돕는 기능을 하고 중앙처리장치에 속해있다는 것입니다. 레지스터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 레지스터는 프로그램 카운터 또는 프로그램 계수기..
- Total
- Today
- Yesterday